광명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와 관련해, 붕괴 전 기둥이 파손된 모습이 담긴 현장 사진을 YTN이 단독으로 입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초기에 이미 터널 내부는 찌그러졌고, 기둥은 '파손'돼 무너질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<br /> <br />황보연 기자, 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저희 YTN은 시공사인 포스코 이엔씨 측에서 국가철도공단에 제출한 최초 상황보고서를 단독으로 입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받은 국토교통부 자료에는, 터널을 받치고 있는 중앙 기둥이 파손된 모습이 선명하게 담겨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사 내부 사진을 보면, 아치형 터널 중앙부를 지탱하고 있는 콘크리트 기둥들이 여러 개 파손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둥 상단부 곳곳이 부러지거나 사이 공간이 크게 벌어져 있으며, 내부 철근까지 노출된 부분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고는 초기 '기둥 균열'로 알려졌지만, 사고 당시 이미 기둥이 파손된 상태였던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이로써, 어제(11일) 새벽 0시 반쯤 현장 관계자가 시청에 '기둥 균열이 생겼다'고 신고한 것이 실제 상황과는 달랐던 점도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터널 내부 공간이 변형되는 등의 사고 조짐도 있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까지 전달된 상황보고서의 제목은 '투 아치 터널 변위 발생 보고'인데요, <br /> <br />투 아치 터널은 쉽게 말해 쌍굴형 터널, 하나의 터널 안에 두 개의 아치형 통로가 있는 구조를 뜻합니다. <br /> <br />즉, 터널을 받치는 기둥이 파손되면서 아치형 터널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하중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고,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전조 현상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명기 /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 : 암반 무게 자체가 현재 터널 쪽에 많이 작용하고 있다. 결국은 붕괴의 전조 현상인 것이죠.] <br /> <br /> <br />현재 구조 상황은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2명의 실종자 중 한 명은 (앞서 전해 드린대로 오늘 새벽 4시 반쯤 사고 13시간 만에 잔햇더미에서 구조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아직 50대 작업자 1명이 실종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경찰과 소방당국은 이 마지막 실종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견을 현장에 투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휴대전화 위치 추적도 병행하고 있는데 아직 발견했다는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광명시는 혹시 모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보연 (pyojw032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041215380738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